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靑 "중·러, 대북제재 완화 결의안 사전 소통 보도…완전한 오보" 미국이 대북제재를 쉽게 안풀려는건 당연한거 같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by 클래식독 2019. 12. 19. 19:18

본문

단말기 양산체제가 갖춰진 후 휴대전화 보유율은 빠르게 증가했지만 그 외의 정보 접근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보입니다. 김정은 정권에서는 현대화, 정보화 정책을 내세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주민들의 컴퓨터 이용 경험 은 "없음" 이 56.0% 로 과반수가 넘었습니다. 아무래도 단속과 휴대에 용이한 노트북 자가보유가 증가함에 따라 컴퓨터 이용 장소는 공공기관보다 본인의 집의 비중이 84.3%로 압도적으로 높은 추세입니다. 또한, 정보화, 전민과학기술인재화 정책 추진에도 불구하고 일반 주민들의



살림집 내구재 보유 현황.. 살림집 내구재 보유 현황은 올해 처음 시행되었으며 유엔기구 조사(Unicef's MICS)의 항목과 일치한다는 점이 큰 특징입니다. MICS는 유니세프와 북한 중앙통계국이 공동조사한 ‘북한 다중지표군집조사’입니다. 보유율은 TV(88.8%)-CD 플레이어(81.0%)-전기밥솥(69.0%)-휴대전화(61.2%)의 순으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습니다. 북한에서는 태양광이나 축전지와 같은 자가발전체계를 구축해오고 있지만 여전히 불안정하게 전력이 공급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전기제품의 보유율이 높은





46.6%로 전년대비 12.9%p 증가하였고 “거의 매일"이라고 답한 응답 또한 전년 대비 11.6%에서 15.5%로 증가했습니다. 동물성 단백질 섭취 증가로 북한주민의 영양상태 개선을 기대해볼 수 있으며 나아가 의료 및 보건 분야와도 연결될 수 있는 수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다음으로 살림 보유현황을





주요 사망원인과 질병부담의 원인을 분석해보면... 1990년도에서 2010년 사이의 북한 질병 부담의 변화를 살펴보면 심혈관질환, 당뇨, 암 등이 증가했는데요. 반면에 호흡기감염과 같은 감염질환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의 주 사망원인은 폐암, 위암, 간암입니다. 암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이 주요 사망원인 10순위권 이내로 꾸준히 진입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북한 질병부담의 원인 또한 흡연, 대기오염, 영양, 고혈압, 당뇨 등으로 선진국의 원인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을





개성공단 부지 지역 군사시설화도 쉽게는 못하고 하더라도 주민 철수~마을 부숴야 하니 시간 걸리고 북돼지가 뭔 짓을 하더라도 일단 생산시설이 휴전선 밑, 대한민국의 실효 지배권이 미치는 범위 안에 있으니 기업들도 다른 인력을 일시 고용해서라도 조업은 가능함. 금강산도 차라리 캠핑장 관광식으로 당일치기~1박2일로 걍 보고 가는 걸로 했으면 손해 최소화 가능했고. 근데 이걸



가장 뜨거운 화두 중 하나가 ‘4차 산업혁명’ 인데요. 그렇다면 북한의 정보화 실태는 어떠한 모습일까요? 재북 시절 휴대전화 보유 응답률은 62.9%로 field survey(현지조사)인 MICS(Medical Implant Communication Service)의 66.4%와 근접수치의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휴대전화의 사용의 주요 용도 는 51.4% 로 "장사 또는 사업일" 의 응답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연령대별 휴대전화 사용 용도는 젊은 층일수록 “일상적 커뮤니케이션”과 “오락용도”의 비중이 높았으며, 연령층이 높을수록 “장사 또는 사업일”의 비중이 높았습니다. 2015년도 이후 국산





13일부터 23일까지 열흘간 항공모함이 참가하는 해상 연합훈련을 실시했으며. 훈련에는 핵추진 항모 로널드 레이건함과 일 해상자위대 이지스 구축함 '묘코'함 등이 참가했습니다. 미 인도태평양사령부는 "미·일은 상호 운용성을 높이고 정보 공유를 개선하기 위해 함께한다"며 "일본은 가장 가까운 동맹국 중 하나이며, 매우 중요한 지역에서 안정과 안보를



이는 현재 북한에서 관광붐이 일고있는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 않을까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 ‘시기별 생활수준의 변화’에 대한 조사결과 (사진출처 =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시기별 생활수준의 변화는 : 1990년대 이후 중층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2017년부터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1990년대에 상류층비율이 높았지만 2017년 이후로 다시 상류층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류층은 1990년대부터 꾸준히 하락하고





질병부담의 원인 또한 흡연, 대기오염, 영양, 고혈압, 당뇨 등으로 선진국의 원인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만성질환의 증가는 바로 다음에서 다루게 될 북한 내의 보건의료의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북한 내 비공식 보건의료 시장 확대’에 대한 조사결과 (사진출처 =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할 수 있습니다. ** 다음으로 살림 보유현황을 보면.. △ ‘살림집 내구재 보유 현황’에 대한 조사결과 (사진출처 =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그리고.. △ ‘살림집 내구재 보유 현황과 비교’에 대한 조사결과 (사진출처 =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위의 표를 보고 글로써 평해보면.. * 살림집 내구재 보유 현황.. 살림집 내구재 보유 현황은 올해 처음 시행되었으며 유엔기구 조사(Unicef's MICS)의 항목과 일치한다는 점이 큰 특징입니다. MICS는 유니세프와



댓글 영역